20221004_6.jpg
|

[빅데이터] 국채 금리 年4%, 수익률 곡선도 우하향 되나?

지난 7일간 ‘국채’ 관련 키워드 클라우드/출처=㈜파비 데이터 사이언스 연구소

한국은행이 연이어 금리를 인상하고 있는 데다 향후 미국 금리 이상으로 금리가 높아질 우려가 있는 가운데, 장·단기 국채 금리가 동반 상승하며 연 4%를 넘었다.

국채 금리가 저축은행 예금 수익률보다 높아진 데다, 세금을 제외한 실질 수익률도 연 4%에 가까워진 상태다. 일반 예·적금 상품의 경우 저쿠폰(낮은 금리) 장기국채와 같은 수익을 올리기 위해서는 예금 금리가 7~8% 이상 돼야 한다. 고액 자산가는 이자의 거의 절반을 세금으로 내는 금융소득종합과세 최고세율 대상자가 많은 만큼, 더 적극적으로 국채 매입에 관심을 두게 되는 것이다.

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, 올 들어 9월 말까지 개인투자자의 채권 순매수액은 14조4,393억원에 달한다. 그 이전인 2019~2021년 3년 동안의 순매수액 12조1,198억원보다 많은 수치다.

수익률 곡선(Yield curve) 우하향으로 변하고 있어

수익률 곡선은 단기 이자율이 낮고, 장기 이자율이 높은 것이 일반적인 형태다. 여기에 보다 긴 기간 동안 돈이 묶이는 ‘위험’을 감수하는 ‘기간 프리미엄’이 더해진다. 그럼에도 불구하고 장·단기 금리 역전 현상이 나타난 건 채권시장에서와 마찬가지로 경기 침체 우려 여파로 장기금리가 눌려서다.

경기 전망이 안 좋아지면서 기업들은 투자를 줄이고 은행에서 장기로 돈을 빌리지 않는다. 이에 따라 은행도 굳이 높은 금리를 주며 만기가 긴 예금을 유치할 필요가 없어져 이자율을 올리는 데 소극적이다. 아울러 위에서 언급한 장기채 적극 구매 수요로 채권 가격이 상승하며 전체 수익률을 낮추기도 했다.

한편 단기 금리 자체가 많이 오른 것도 있다. 우리은행 ‘WON플러스예금’은 1년물 금리가 연 4.5%로 같은 만기의 은행채 수익률보다도 높다. 금융투자협회 채권정보센터에 따르면 최근 일주일 새 은행채 1년물 수익률은 4.12~4.47% 수준이다. 통상 은행채 수익률은 같은 만기의 정기예금 금리보다 높다. 은행채는 지점을 통해 조달하는 게 아니라 인건비, 임차료 등 비용이 적게 들어가 가격을 더 낮출 수 있다. AAA급 채권이긴 하지만 예금자 보호가 되지 않기 때문에 리스크 프리미엄도 있다. 또 정기예금은 소비자가 손해를 감수하고서라도 해지할 수 있어 은행 입장에서 조달 안정성이 떨어지는 등 조건이 안 좋은데도 유동성이 급하니 웃돈을 줘서라도 자금을 가져오려는 것이다.

아래의 수익률 곡선은 6개월 전까지 일반적인 우상향 그래프였다가 최근 들어 급격하게 우하향 형태로 변화하고 있음을 보여준다.

사진=worldgovernmentbonds.com

경기 과열의 지표인가, 경기 침체에 대한 신호탄인가?

금융 교과서에서는 수익률 곡선이 단기적으로 우하향 형태를 띌 경우 경기 과열로 인한 이자율 상승이 단기적으로는 영업 활동을 축소시켜서 장기적으로는 균형 이자율에 도달할 것으로 예측한다. 그러나 한 채권 트레이더는 단기적인 관점에서 수익률 곡선을 바라볼 것이 아니라 장기 이자율이 더 낮은 상황, 즉 경기 침체를 예측하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수익률 곡선을 해석할 필요가 있다고 분석했다.

더구나 이자율이 향후 1년간 계속 상승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, 더 가파른 수익률 곡선이 나오면 더더욱 장기 침체에 대한 불안이 시장에 증폭되는 신호로 해석해야 한다는 것이다.

지난 7일간 ‘국채’ 관련 키워드 네트워크/출처=㈜파비 데이터 사이언스 연구소

3일 삼성증권에 따르면, 30억원 이상 고액 자산가들이 20년 만기 장기국채를 9월 한 달 동안에만 투자자 1인당 평균 9억원씩 사들인 것으로 나타났다. 이들의 순매수액은 1,000억원이 넘는다. 30억원 이상 고액 자산가들의 지난달 장기국채 매수량은 올해 1~8월 평균의 10.8배에 달한다. 전문가들은 이렇게 시장 유동성이 감소하는만큼 투자가 위축되고 경기 침체는 더 가속화될 것으로 우려한다.

위의 빅데이터 기반 키워드 네트워크에서도 이러한 관점이 잘 드러난다. 녹색 키워드 그룹은 국내 금융시장의 냉각, 붉은색 키워드 그룹은 환율로 흡수되는 해외 시장의 충격파를 보여준다. 이 중 녹색 키워드 그룹은 이자율 급등으로 채권에 대한 수요가 크게 증가해 매입 관련 언급량이 크게 늘었던 것으로 보인다.

향후 금리 인상이 더 예정된 만큼 채권 수요가 더 증가할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, 채권 트레이딩 관계자는 “국채 금리에 정점이 오고 있다고 보고 발 빠르게 선제 투자에 나선 것이 최근 고액 자산가들의 움직임”이라 해석하기도 했다.

Similar Posts